시장원리와 한국의 경제운용 (중소기업연구원 刊, 2008)
HOME > 저서
 

  [요약보기]
  • 서론
    • 선진국 문턱에서 바라 본 한국경제
    • 큰 정부론
    • 큰 정부론 비판의 아이러니
    • 이념논쟁의 맹점
    • 시행착오와 역사의 교훈
  • 시장원리란 무엇인가?
    • 시장원리와 이념논쟁
    • 시장원리에 대한 오해
    • 가치중립적 사회운용 방법으로서의 시장원리
    • 시장원리가 바람직한 선택을 가지고 오는 이유
    • 인간본성에 기초한 유인으로서의 개인적 이해관계
    • 경제운용 질서로서의 시장원리
    • 시장원리에 대한 오해가 빚은 시장사회주의론
    • 지식활용과 시장원리
    • 시장원리 작동의 핵심 요건
  • 시장원리와 정부의 역할
    • 질서로서의 시장
    • 시장실패
    • 경제적 안정성과 정치·사회적 안정성
    • 정부실패
    • 정책의 딜레마와 정책과정
    • 경제환경 변화와 정부역할 재인식
    • 사회적 합의와 시장원리에 순응하는 경제운용
    • 소결: 법·제도와 시장질서 수호자로서의 정부
  • 시장원리에서 본 한국의 경제운용
    • 경제운용이 지향해야 할 목표
    • 한국경제가 성공한 이유
    • 개선되어야 할 한국의 경제운용
    • 우리경제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 성장률이 정책공약이 될 수 있는가?
    • 국제수지에 대한 오해: 환율은 정책변수가 아니다.
    • 부동산문제가 왜 난제가 되었는가?
    • 시장원리에서 본 노동시장의 문제
    • 경쟁력은 경쟁적 구조에서
    • 중소기업문제에 대한 진정한 해법
    • 양극화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
    • 국민건강, 정부가 책임질 수 있나?
    • 모두가 피해자인 대한민국 교육
  • 결론
    • 선진국이 선진국인 이유
    • 필요한 인식의 전환
    • 바람직한 경제운영의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