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보기] |
|
|
[제1장] 서론 |
|
|
|
1. 선진국 문턱에서 바라 본 한국경제
2. 큰 정부론
3. 큰 정부론 비판의 아이러니
4. 이념논쟁의 맹점
5. 시행착오와 역사의 교훈 |
|
|
[제2장] 시장원리란
무엇인가? |
|
|
|
1. 시장원리와 이념논쟁
2. 시장원리에 대한 오해
3. 가치중립적 사회운용 방법으로서의 시장원리
4. 시장원리가 바람직한 선택을 가지고 오는 이유
5. 인간본성에 기초한 유인으로서의 개인적 이해관계
6. 경제운용 질서로서의 시장원리
7. 시장원리에 대한 오해가 빚은 시장사회주의론
8. 지식활용과 시장원리
9. 시장원리 작동의 핵심 요건 |
|
|
[제3장] 시장원리와
정부의 역할 |
|
|
|
1. 질서로서의 시장
2. 시장실패
3. 경제적 안정성과 정치·사회적 안정성
4. 정부실패
5. 정책의 딜레마와 정책과정
6. 경제환경 변화와 정부역할 재인식
7. 사회적 합의와 시장원리에 순응하는 경제운용
8. 소결: 법·제도와 시장질서 수호자로서의
정부 |
|
|
[제4장] 시장원리에서
본 한국의 경제운용 |
|
|
|
1. 경제운용이 지향해야 할 목표
2. 한국경제가 성공한 이유
3. 개선되어야 할 한국의 경제운용
4. 우리경제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5. 성장률이 정책공약이 될 수 있는가?
6. 국제수지에 대한 오해: 환율은 정책변수가 아니다.
7. 부동산문제가 왜 난제가 되었는가?
8. 시장원리에서 본 노동시장의 문제
9. 경쟁력은 경쟁적 구조에서
10. 중소기업문제에 대한 진정한 해법
11. 양극화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
12. 국민건강, 정부가 책임질 수 있나?
13. 모두가 피해자인 대한민국 교육 |
|
|
[제5장] 결론 |
|
|
|
1. 선진국이 선진국인 이유
2. 필요한 인식의 전환
3. 바람직한 경제운영의 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