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자료실
HOME > 외환위기자료실
 

  01   우리 나라 외환위기의 원인과 배경 일반 (총론적 분석)
  02   외환위기의 원인과 배경에 대한 접근방식
  03   외환위기의 원인과 배경 중 우리 경제의 축적된 구조적 문제점이 미친 영향
  04   국제금융의 문제점과 외환위기와의 관계
  4.1 국제금융의 구조적 문제점
  4.2 국제금융자본가들의 형태 및 도덕적 해이
  4.3 미국의 국제금융과 관련한 의도와 전략이 아시아와 한국의 외환위기에 미친 영향
  4.4 소위 음모론
  4.5 일본경제의 취약성과 아시아 및 한국의 외환위기와 관련한 일본의 역할과 책임
  05   97년 당시 한국의 정치상황이 한국의 외환위기의 발생과 진전 및 악화에 미친 영향
  06   한국의 외환위기에 있어서 아시아 다른 나라로부터의 전염효과
  07   외환위기의 발생시점은? 인지시점은 적절했는지?
  7.1 아시아 및 한국의 외환위기의 발생을 좀더 일찍 예측하는 것이 가능했는지?
  7.2 당시 IMF, IBRD, OECD 등 주요 국제기관 및 저명한 경제학자들의 한국경제에 대한 인식과 평가 및 외환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한 예측
  7.3 위기를 좀더 일찍 예측했다면 어떤 대응이 가능했고 이 경우 IMF행의 회피가 가능했겠는지?
  08   외환위기에의 대처과정의 적정 여부
  8.1 대처과정의 timeliness
  8.2 정책선택의 적절 여부
  8.3 구조개혁 노력과 위기발생
  09   IMF사태로 한국국민이 받는 고통의 실체와 원인
  9.1 IMF행 이후 환율 등 외환 관련 지표의 안정과정에서 한국과 타국의 비교
  9.2 IMF협약조건과 외채만기연장조건 등의 타국과의 비교
  9.3 IMF와의 협상과정에서의 문제점, 경제정책방향과 구조조정노력의 적정성
  9.4 IMF행이 없었으면 구조조정을 안 할 수도 있었는지?
  9.5 한국에 있어서 IMF정책의 평가와 IMF체제하에서 현 정부의 거시경제운용 등의 성과와 문제점
  10   금융개혁과 외환위기와의 관계
  11   기아문제와 외환위기
  12   IMF사태와 관계자의 바람직한 역할과 책임
  12.1 당시 경제정책담당자의 책임 한계, 이의 형사문제화의 적정여부
  12.2 11.19 개각의 적정성과 이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
  12.3 개각 이후 경제 팀의 위기 대처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국제적 인식
  12.4 경제정책의 입안과 시행과정에서의 대통령과 총리, 각료, 중앙은행 총재 등 집행책임자 및 참모 또는 보좌관의 역할과 책임의 한계
  13    외환위기를 겪은 아시아 타국과 한국의 공통점과 차이점
  13.1 아시아 모델의 역할과 한계
  13.2 위기당시의 경제와 정치상황
  13.3 정부의 위기대처과정
  13.4 위기과정에서 정치, 언론 등의 역할
  13.5 위기수습과 IMF 체제하에서 정부의 역할
  14   아시아 외환위기와 관련한 IMF의 정책에 대한 평가와 비판
  15   새로운 국제금융체제의 개편 등 새로운 제도 및 질서의 모색 동향